본문 바로가기
투자에 도움되는 명언 정리

통섭과 투자 中 / 마이클 모부신

by 위즈올마이티 2023. 5. 19.

 


□ 도어맨의 망상 – 남의 말에 의존하면 투자 위험이 커지는 이유

* 도어맨의 망상
회사 빌딩의 도어맨이 자신도 조만간 회장으로 승진할 수 있다는 헛된 꿈을 꾸는 상태


주식시장을 복잡계로 보는 투자자는 두 가지 인식의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첫 번째 함정은 모든 결과에 대해 원인을 계속 탐색하는 행위다.


작은 변화들이 큰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임계점이 존재한다는 것이 복잡계의 전형적 특성이다.
따라서 원인과 결과가 언제나 쉽게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원인과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결과가 그에 비례하는 원인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이다.


인간은 모든 결과에 대해 원인을 찾고자 하기 때문에, 이런 개념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두 번째 함정은 시장 자체를 이해하려 하기보다 개별 정보에 집착하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저PCR 장세가 나타나면 경영자들은 투자자들이 재무제표에 관심을 가지기 때문인지 궁금해한다.


하지만 개별 투자자들은 자신만의 의사결정 규칙이 있고, 시장은 그 규칙들의 집합을 보여줄 뿐이다.


더욱이 복잡계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전문가보다 다양한 개인의 집합이 더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바쁜 투자자는 경험이나 주먹구구에 의존한다. 최선은 아니지만 시간이 절약된다.
그런데 편향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평향을 미리 알아두면 투자 결정을 제대로 하게 되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주먹구구 방식에 따라 투자자들은 사건의 발생 빈도나 원인을 과거의 비슷한 ‘경험’에서 가져와 현실에 적용한다.


즉, 투자자와 경영자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보다는 공시 자료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이런 편향이 ‘도어맨의 망상’의 핵심이라 생각한다.


투자자와 경영자들은 공시 자료에 너무 많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기업의 미래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처럼 더 의미 있는 정보 대신 현재의 실적 수치에 초점을 맞춘다.


경영자들은 애널리스트들의 실적 분석 자료만 읽으면서, 시장에는 이런 투자자들만 존재한다고 착각하기 쉽다.


시장을 이해하려면 시장이 복잡계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시장은 지식, 자원, 동기가 모두 다른 다양한 투자자들의 상호 작용을 반영해 움직인다.


따라서 개별 투자자의 의견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면 수익을 내기 쉽지 않다.


- 통섭과 투자 中 / 마이클 모부신

 


 

728x90
728x90

댓글